
화면에서 ‘포장/매장 선택 → 메뉴 누르기 → 옵션 확인 → 결제 → 대기번호 보고 픽업’ 입니다.
아래 8단계를 순서대로 따라오세요.
그림 없이 따라하기: 8단계
1) 입장 후, 키오스크 앞에 서기
- 화면이 꺼져 있으면 아무 곳이나 톡! 터치합니다.
- 큰 글씨/쉬운 모드가 보이면 먼저 누르세요. 글자가 커지고 버튼이 큽니다.
- 외국어가 보이면 화면 오른쪽 위에서 한국어(🇰🇷) 를 선택합니다.
2) “매장” 또는 “포장” 고르기
- 매장: 가게 안에서 마실 때.
- 포장: 가지고 나갈 때.
(헷갈리면 직원 호출 버튼 또는 주변 안내문을 보세요. 무인이라도 도움 벨이 있는 곳이 많습니다.)
3) 메뉴 고르기
- 화면 윗부분에 커피 / 라떼 / 차 / 에이드 / 디저트 같은 칸이 있습니다.
- 원하는 칸을 누르고, 메뉴 사진을 누르세요.
- 카페인이 걱정되면 디카페인 또는 카페인 적은 메뉴를 찾습니다. (메뉴 정보의 ⓘ 표시 확인)
4) 옵션 확인하기 (가장 많이 헷갈리는 단계)
- HOT / ICE 중 하나 선택
- 사이즈(보통 Regular/ Large) 선택
- 샷 추가 / 당도 / 얼음량 / 우유 종류(일반·저지방·두유·오트) 는 선택사항입니다.
- 다 골랐다면 [담기] 또는 [장바구니] 버튼을 누릅니다.
TIP
선택을 잘못 눌렀다면 뒤로가기(←) 또는 취소를 누르면 처음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5) 장바구니 확인
- 수량 + / - 로 개수 조절
- 잘못 담았으면 휴지통(삭제) 아이콘 누르기
- 쿠폰 / 포인트 적립 버튼이 보이면 여기서 진행합니다.
- 금액을 한 번 더 확인하고 [결제하기] 를 누릅니다.
6) 결제하기
- 카드 결제: 카드 단말기 불빛 나는 곳에 대거나(터치), 꽂거나(칩), 긁기 중 하나를 안내대로 합니다.
- 휴대폰 결제(삼성·애플·네이버·카카오): 휴대폰을 단말기에 가볍게 대고, 지문 또는 얼굴 인식으로 승인합니다.
- 교통카드: 되는 매장만 가능. 실패하면 다른 결제수단을 다시 선택하세요.
결제가 끝나면 화면에 대기번호(예: 42번) 또는 이름/닉네임이 나옵니다.
사진으로 찍어두거나 문자 알림을 허용하세요.
7) 기다리기
- 화면 또는 전광판에서 호출 번호를 봅니다.
- 주변이 시끄러우면 문자 알림이 더 편합니다.
- 보통 3~7분이면 나옵니다(매장/메뉴에 따라 다름).
8) 픽업(수령)
- 대기번호와 컵 라벨의 메뉴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 빨대, 냅킨, 시럽은 셀프 존에서 가져갑니다.
- 문제 있으면 호출 벨 또는 안내판의 연락처로 즉시 알려주세요.
자주 생기는 문제 → 바로 해결
1) 결제는 된 것 같은데, 번호가 안 나왔어요
- 먼저 대기번호가 보였는지 확인합니다.
- 번호가 없었다면, 결제가 실패거나 누락일 수 있습니다.
- 키오스크의 도움/호출 버튼 또는 안내판 연락처로 말하세요.
- “결제는 됐는데 번호가 안 나왔습니다.”
- 카드 승인 문자나 영수증(승인번호·시간) 을 보여주면 확인이 빨라요.
2) 너무 늦어요
- 전광판에서 지금 어느 번호를 만들고 있는지 봅니다. (예: 35번 진행 중이면 42번은 대기 정상)
- 문자 알림이 안 왔으면 매장에 주문 확인을 요청하세요.
3) 옵션을 잘못 눌렀어요
- 제조 전이면 취소 또는 수정이 됩니다.
- 제조 후이면 매장 정책에 따라 재제작 또는 부분 환불입니다.
4) 중복 결제 같아요
- 같은 금액으로 문자가 2번 왔는지 확인합니다.
- 매장에 당일 취소(원거래 취소) 요청을 하세요. 그날 취소가 가장 빠릅니다.
5) 영수증·포인트가 필요해요
- 포인트: 결제 전에 멤버십 바코드를 보여주거나, 결제 후 영수증 QR로 사후 적립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 영수증: 문자로 전자영수증 링크를 받거나, 키오스크 영수증 재발급 메뉴를 이용합니다.
- 현금영수증: 대부분 무인 카페는 현금 결제 자체가 불가합니다.
결제수단, 무엇이 쉬울까? (간단 비교)
- 신용/체크카드
- 장점: 가장 안정적, 대부분 매장에서 됨
- 주의: 카드를 반드시 지참
- 휴대폰 결제(삼성·애플·네이버·카카오)
- 장점: 지문/얼굴 인식으로 빠름, 지갑이 없어도 됨
- 주의: 단말기와 호환 문제가 가끔 있음 → 안 되면 카드로
- 교통카드
- 장점: 카드 한 장으로 간단
- 주의: 지원 매장만 가능, 영수증 발급이 제한될 수 있음
- 기프트/선불카드
- 장점: 예산 관리 쉬움
- 주의: 잔액 확인 필요, 나눠 결제(분할결제) 안 될 수 있음
안전·건강·매너 한 번 더
- 알레르기/카페인: 메뉴 정보의 ⓘ 를 누르면 성분이 나옵니다. 확실하지 않으면 디카페인을 고르세요.
- 피크 시간(출근·점심·퇴근): 미리 메뉴를 생각해두면 줄이 빨리 빠집니다.
- 개인정보: 전화번호 입력이 불편하다면 문자 대신 앱 푸시를 선택할 수 있는지 찾아보세요.
시니어 전용 체크리스트 (출발 전에 30초)
가지고 갈 것
□ 결제할 카드 1장 또는 휴대폰 결제 준비
□ 포인트 앱을 미리 켜두기(있다면)
□ 마실 메뉴와 HOT/ICE 먼저 결정
주문할 때
□ 포장/매장 먼저 선택
□ 옵션은 순서대로: HOT/ICE → 사이즈 → (있으면) 샷/시럽/우유
□ 금액·수량 확인 후 결제하기
□ 대기번호 사진 찍기 또는 문자 알림 허용
받을 때
□ 번호·메뉴·옵션 한 번 더 확인
□ 문제 있으면 바로 벨 또는 연락처로 문의
자주 묻는 질문(FAQ)
Q1. 현금만 있습니다. 이용 가능한가요?
A. 대부분 현금 결제는 안 됩니다. 가까운 유인 매장 이용 또는 선불카드 충전 후 사용을 권합니다.
Q2. 교통카드로 결제했는데 영수증이 필요해요.
A. 가능한 매장만 전자영수증을 줍니다. 키오스크 영수증 재발급 메뉴나 문자 링크를 확인하세요.
Q3. 얼음을 적게 넣고 싶어요.
A. 옵션에 얼음량이 있으면 조절됩니다. 없으면 “요청사항”에 적되, 매장 정책에 따라 반영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Q4. 테이블에서 QR로 주문하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요?
A. 키오스크 주문: 기기에서 결제하고 대기번호를 받아 픽업합니다.
테이블 QR 주문: 자리에서 휴대폰으로 주문·결제합니다. (앱 설치가 필요할 때도 있음)
Q5. 부분만 환불하고 싶어요.
A. 만들기 전이면 취소가 쉽습니다. 만든 후는 매장 정책에 따라 재제작/부분 환불이 결정됩니다.
마지막 안내(꼭 읽어주세요)
이 글은 일반적인 무인 카페 사용법입니다.
매장·브랜드마다 결제 방법, 환불 규정, 포인트, 개인정보 안내가 다를 수 있습니다.
방문하신 매장의 안내문, 고객센터, 공식 앱 공지를 꼭 확인해 최신 정보로 이용하세요.
'일상생활안내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맞벌이 연말정산 2025: 부양가족·자녀 세액공제 배분 최적화 가이드 (0) | 2025.10.16 |
|---|---|
| 2025 국가건강검진 대상 한눈에: 연도·나이별 체크 가이드 (0) | 2025.10.11 |
| 전통시장·대중교통·간편결제까지: 연말정산 카드 소득공제 절세 루트 (0) | 2025.10.08 |
| 요양·경비 특화까지 포함한 시니어 채용 플랫폼 간단 가이드 (0) | 2025.10.07 |
| 사람인 일자리 검색 초보 가이드: 키워드 설정부터 필터 활용, 공고 읽는 법까지 (0) | 2025.10.07 |